
경기도에 등록된 친환경차가 50만대를 넘어선 가운데 공공·민간 부문에서 충전 인프라 확충에도 속도를 높이고 있다.
18일 경기도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도내 자동차 누적 등록대수는 전국의 25.1%인 652만5098대로 인구(내국인) 1명당 0.48대 꼴로 나타났다.
이는 2022년보다 14만6466대(2.3%) 증가한 것이다.
이 가운데 친환경차는 7.9%인 51만8505대로 도내 전체 등록대수 대비 비중이 2022년 6.1%에서 1.8%포인트 증가했다.
친환경차 중에서는 전기차 11만4117대, 수소차 7050대, 하이브리드차 39만6887대를 차지하는데, 2022년 대비 전기차(47.0%)와 하이브리드차(29.7%)의 증가율이 두드러졌다.
다만 전기차의 경우 2021년 대비 2022년 증가율이 2배에 육박하는 94.3%였던 점을 고려하면 증가 폭이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 것이다. 이는 국내는 물론 전 세계적인 전기차 수요 둔화 현상과 맞물린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도내 지방자치단체와 민간 사업자들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충을 지속해서 추진하고 있다.
도내 전기차 충전기는 2021년까지만 해도 한해 4000~6000기씩 증설되는 수준을 보이다가 2021년 2만2503기에서 2022년 4만8520기로 2배가 넘는 115.6%, 지난해에는 7만4957기로 54.5% 늘어났다.
하지만 급속충전기는 아직 전체 충전기의 10% 미만(9.3% 6968기)에 머물러 있다.
수소차 충전소 역시 지난해 24개소에 60개소로 늘어났지만, 현재 운영 중인 곳은 30개소이고 나머지 30개소는 아직 추진 중이다.
도는 올해 도비 20억원을 투입해 공공시설과 공중이용시설을 중심으로 전기차 충전기반시설 110기(공용 급속충전기)를 설치하기로 하고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을 통해 민간 충전사업자 2곳을 선정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지난달 31개 시군 조사를 통해 전기차 공용 급속충전시설 사전 신청을 받았으며 적정 장소 선정을 위한 현지실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한편, 경기도는 전기차 충전시설 설치 지점은 공공시설을 우선 선정하고 도농지역, 마을회관 등 충전 취약 지역의 공중이용시설을 대상으로 선정할 방침이다.
[ 경기매거진 = 지명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