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 리더들, 민관 협력 및 정책 지원 확대로 MSME 디지털 전환 가속화해야
마닐라, 필리핀 2025년 11월 18일 --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내 극소•중소기업(MSME)들이 역내 협력 확대의 혜택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러한 협력이 핀테크 기업이 소규모 사업자를 보다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고 설명했다.

로웨나 자모라(Rowena Zamora) 지캐시(GCash)의 모회사 민트(Mynt) 최고전략책임자(CSO)는 핀테크 기업이 소규모 사업자 역량 강화에 도움을 주는 아세안의 주요 이니셔티브로 '아세안 단일 창구(ASEAN Single Window)'를 언급했다. 이 제도는 핀테크 기업과 MSME의 디지털 처리 절차를 한층 간소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자모라 CSO는 "국내 시장뿐만 아니라 더 큰 아세안 지역 차원에서 MSME의 시장 접근성을 확대하기 위해 정책과 프로세스를 민주화해야 한다"며 "참여 비용과 규제 준수 비용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실질적인 혁신을 제공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약 600만 개 가맹점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해 온 지캐시는 필리핀 국가 정책기관 및 규제 당국과의 파트너십과 더불어, 전통적 금융 방식에 대한 다양한 MSME 대상 대안 금융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자모라 CSO는 아세안이 국경 간 규제를 표준화하고, 지캐시가 해외 조달이 필요한 MSME를 포함한 국경 간 거래를 지원함에 따라, 역내 시장 참여 비용이 크게 낮아진다고 밝혔다.
자모라 CSO의 이 발언은 올해 9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세계무역기구(WTO) 공공 포럼의 패널 토론에서 나왔다.
'국경을 넘어: MSME 디지털화를 향한 아세안의 대담한 경로(Beyond Borders: ASEAN's Bold Paths to MSME Digitalization)'라는 제목의 이 패널 세션은 필리핀 WTO 대표부와 지캐시가 공동 주최했다. 이 자리에는 인도네시아의 개방형 디지털 지갑 다나( DANA)와 국제결제은행(BIS) 혁신 허브 등 역내 다른 이해관계자들도 모였다.
패널 개회사에서 마누엘 티한키 대사(Manuel Teehankee) 주필리핀 WTO 상임대표는 MSME가 점점 복잡해지는 글로벌 시장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국경 간 상호 운용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또한 2026년 필리핀의 아세안 의장국 임기를 앞두고, 아세안 디지털 시장 통합을 목표로 하는 '디지털 경제 프레임워크 협정(Digital Economy Framework Agreement, DEFA)'에 대한 필리핀의 지지를 재확인했다.
펠릭스 샤리프(Felix Sharief) 다나 대외 정책 및 정부 관계 담당 부사장은 역시 이 패널에서 아세안의 전자 상거래 프로세스 표준화와 경제 협력 덕분에 혜택을 보았다고 말했다. 이는 비용을 절감하고 금융 서비스 소외 계층에게 더 많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샤리프 부사장은 또한 MSME가 디지털 경제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투자에 주목하며, "민간 부문이 기술과 혁신을 제공하고 공공 부문이 이를 가능하게 하는 정책을 만들면서 민관 부문 간의 협력이 환경을 형성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런 방식으로 전환과 디지털화를 이루고 금융 수단이 사회 전체에 접근 가능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자모라 CSO는 인도네시아 정부가 주관한 '아세안의 디지털 결제: 혁신에서 포용으로(Digital Payments in ASEAN: From Innovation to Inclusion)' 워킹 세션에도 참여했으며, 이 자리에서 국경 간 QR 상호 운용성과 역내 결제 연계성에 대해서도 논의됐다.

















